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제 2회 정보처리기사 실기...정리를 해야할까요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붙어서 호기롭게 실기에 도전하였는데 역시 방대한 분량이 문제였을까...개편 되어서 그런걸까 아슬아슬하게 떨어질 듯 한 결과가 나올듯 하다. 뭐 어떠한가 덕분에 궁금했던 기본 지식 열심히 공부해서 눈이 좀 트여서 매우 기쁘다. 여기에 정리한 것을 올리면 좋지만, 책 한권을 노트에 전부 자필로 필기 해놓은 상태이다. 정리하는 개념으로 올리는게 좋을까...? 재도전을 위해서..? 더보기
MySQL 참고용(생성,수정,삭제 등...기초) 스키마 만들기 CREATE DATABASE 스키마명; 스키마 삭제 DROP DATABASE 스키마명; 만들어진 DB확인 SHOW {DATABASES | SCHEMAS}; SHOW DATABASES; SHOW TABLES; SHOW FULL COLUMNS FROM 테이블명; desc 테이블명; 스키마 선택, 사용하기 USE 스키마명; 표:TABLE X축 : row, record, 행 Y축 : column, 열 TABLE 생성 CREATE TABLE topic( id INT(11) NOT NULL AUTO_INCREMENT, title VARCHAR(100) NOT NULL, description TEXT NOT NULL, author VARCHAR(30) NULL, profile VARCHAR(100) N.. 더보기
webPack에 devServer 설치하기(개발용 서버) npm으로 dev-server 패키지를 먼저 설치해준다. npm i webpack-dev-server -D webpack.config.js과 package.json에 각각 추가해준다. /* webpack.config.js */ devServer: { contentBase: path.join(__dirname, 'dist'), compress: true, port: 9000 } /* package.json */ "scripts": { "build": "webpack", "dev": "webpack-dev-server" } 웹서버를 돌리기 위해 cmd에 입력한다. npm run dev ℹ 「wds」: Project is running at http://localhost:9000/ ℹ 「wds」: webpac.. 더보기
Tistory 블로그 개설 SNS을 많이 하는 세상에 길다란 글을 쓰는 Blog로 돌아와보았습니다. 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일단 적응해보고,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죠. 일단 Test page인 것 더보기